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10

중대재해 처벌법 적용범위와 주요 내용 최근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대형사고로 인해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강화되었는데요. 이번에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범위와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대재해 처벌법 대상 및 내용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 등 사망자 발생한 경우 :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 - 부상 또는 질병 발생한 경우 :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법인이나 기관 사망자 발생한 경우 : 50억원 이하의 벌금형 부상 또는 질병 발생한 경우 : 10억원 이하의 벌금형 손해배상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이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안전 및 보건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 손해액의 5배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상 책임 적용범위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사업.. 2022. 3. 12.
사고예방을 위한 작업장 정리정돈 방법 작업장 정리정돈은 현장의 안전성, 효율성, 청결성을 만드는 활동입니다. 특히 사고예방을 위한 작업장 정리정돈은 5S라는 방법으로 시행되는데요. 이번에는 사고예방을 위한 작업장 정리정돈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S란? 정리, 정돈, 청소, 청결, 습관화를 뜻하는 것 현장의 낭비와 무질서를 제거하고, 눈으로 보는 관리의 생활화로 우리가 일하는 현장을 안전하고, 깨끗하며, 일하기 쉽고, 편하게 만드는 활동 정리(Seiri) 정돈(Seidon) 청소(Seiso) 청결(Seiketsu) 습관화(Shitsuke) 정리정돈 정리는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여 불필요한 것을 버리는 것 정돈은 필요할 때에 필요한 것을 필요한 양 만큼 누구나 집을 수 있게 바르게 놓고, 레이아웃을 정하는 것 정돈순서 불필요한.. 2022. 3. 11.
유해 및 위험화학물질 안전하게 작업하기 유해 및 위험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해 근로자는 'MSDS : Meterial Safety Data Sheets'라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사업주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비치해야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유해 및 위험화학물질의 안전 사업장에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의 목록 정리 목록에 있는 화학물질별로 MSDS 비치 또는 게시 확인 목록에 있는 화학물질별 용기 및 포장에 경고표시 부착 확인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작업공정별로 관리요령 게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 대상 교육 시행 MSDS의 정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 Meterial Safety Data Sheets) 화학물질 설명 자료 MSDS의 역할 근로자의 알 권리(Worker’s Right-to-Kno.. 2022. 3. 11.
업무상 재해의 유형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기준은 업무상 사고, 업무상 질병, 출퇴근 재해로 발생한 재해, 사업주가 관리하고 있는 시설물의 하자로 인한 사고, 업무와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재해가 있습니다. 다만, 근로자의 고의행위, 자해행위 또는 범죄행위로 인한 재해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이번에는 업무상 재해의 유형별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업무수행 중 사고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수행 행위 업무수행 과정에서 하는 용변 등 생리적 필요 행위 업무를 준비하거나 마무리하는 행위, 그 밖에 업무에 따르는 필요적 부수행위 천재지변·화재 등 사업장 내에 발생한 돌발적인 사고에 따른 긴급피난·구조행위 등 사회통념상 예견되는 행위 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 업무수행 장소가 .. 2022. 3. 11.